반응형 전체 글72 포스트모더니즘과 인물 해체: 영화 속 주인공은 누구인가 전지적 주인공의 해체: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의 부상전통적 영화 서사에서 주인공은 흔히 확고한 동기와 일관된 성격을 가진 인물로 묘사됩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에서는 인물이 더 이상 진실을 전달하는 안정적인 매개체로 기능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데이비드 핀처의 에서는 주인공 자신이 자신의 정체를 알지 못하고, 관객도 그의 서사를 믿을 수 없게 됩니다. 여기서 "신뢰할 수 없는 화자" 개념이 핵심입니다. 관객은 이야기의 진위를 끊임없이 의심하게 되며, 인물은 내면의 균열 속에서 복수의 정체성을 가집니다. 에서는 기억을 잃은 주인공이 시간의 흐름을 뒤집으며 진실에 다가가려 합니다. 하지만 이야기의 끝에서 그가 믿고 있던 진실이 허구임이 드러나며, 인물은 더 이상 현실을 인지할 수 없는 상태로 남습니다.. 2025. 6. 10. 디지털 시대의 스타 탄생: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로 떠오른 주인공들 유튜브의 알고리즘과 1인 미디어의 탄생유튜브는 방송국이 아닌 개인도 스타가 될 수 있는 공간을 열었습니다. 카메라와 편집 프로그램만 있으면 누구나 채널을 열고 전 세계에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가능성을 가장 먼저 보여준 건 코미디언도, 가수도 아닌 보통 사람들이었습니다. 초창기 유튜버였던 한국의 양띵이나 미국의 PewDiePie 같은 인물은 기존 연예 시스템 바깥에서 출발해 수백만 명의 구독자를 모았고, 광고 수익이나 협찬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추천하고, 조회수와 시청 시간 중심으로 인기 채널을 띄워주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자연스럽게 반복 시청이 가능한 짧은 포맷, 강한 캐릭터성, 높은 업로드 빈.. 2025. 6. 9. 디아스포라와 영화: 국경을 넘은 배우들 이야기 마를렌 디트리히: 망명과 저항의 아이콘마를렌 디트리히는 독일 베를린 출신으로,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 영화에서 스타로 떠올랐습니다. 1930년 The Blue Angel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할리우드에 진출했고, 이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면서 본격적인 이민자 배우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그녀의 디아스포라 적 정체성은 단지 국적의 변경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나치 정권의 부름을 거절하고,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군을 위한 위문 공연을 자청한 그녀는 단순한 배우가 아닌, 정치적 입장을 가진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디트리히의 캐릭터는 종종 성적 경계를 넘나들며, 고정된 여성성과 독일적 이미지에 저항했습니다. 그녀가 선택한 역할들은 고전적인 할리우드 여성상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능동적으로 정의하는 인.. 2025. 6. 8. 애니메이션 속 세계적 캐릭터: 살아있는 주인공들의 문화사 미키마우스: 산업과 이데올로기의 얼굴1928년, 월트 디즈니와 우브 아이웍스가 탄생시킨 미키마우스는 단순한 만화 캐릭터를 넘어, 미국 대중문화와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초기의 미키는 말썽꾸러기이고 유쾌한 성격이 강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더 세련되고 보편적인 이미지로 변해갔습니다. Steamboat Willie를 시작으로 미국 대공황, 2차 세계대전, 냉전 시대를 거치며 미키마우스는 미국식 유쾌함과 희망, 그리고 어떤 면에서는 체제 선전을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되었습니다. 미키는 단지 웃음을 주는 존재가 아니라, 미국의 문화 정책과 글로벌 확산 전략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복을 입은 미키는 병사들에게 심리적 위안을 주는 이미지였고, 냉전 시대에는 소련과의 문화적 대결에서 .. 2025. 6. 7. 디아스포라와 영화: 국경을 넘은 배우들 이야기 경계 너머의 우아함, 마를렌 디트리히독일 출신의 마를렌 디트리히는 1930년대 유럽을 대표하는 배우였으며, 할리우드로 이주하면서 글로벌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베를린에서 태어나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에 활동을 시작한 그녀는 Der blaue Engel(1930)로 스타덤에 올랐고, 곧바로 미국으로 건너가 Morocco(1930), Shanghai Express(1932) 등을 통해 할리우드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디트리히는 단순히 외국 출신의 스타가 아니라,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현한 인물이기도 했습니다. 나치 독일의 권유를 거절하고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후,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군 위문 공연을 다녔으며,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행보였습니다. 그녀의 존재는 단지 스크린 .. 2025. 6. 6. 여성 서사의 진화: 영화 속 여성 주인공 100년의 흐름 초기 할리우드의 희생자 여성상: 침묵과 고통의 중심1920~30년대 할리우드는 남성 주도적인 이야기 구조 속에서 여성 캐릭터를 종종 수동적이고 희생적인 존재로 묘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루이스 브룩스가 출연한 Pandora's Box(1929)나 릴리언 기시의 The Wind(1928) 같은 작품에서 여성은 운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순결한 희생자로 그려졌습니다. 이 시기의 여성 주인공은 주체적인 선택보다는 환경과 남성 캐릭터에 의해 삶의 방향이 결정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할리우드 초기 영화산업은 시각적 감정의 극대화를 위해 여성의 고통, 눈물, 불행을 서사 구조에 반복적으로 끌어들였고, 이는 남성 관객의 감정적 동일화를 유도하는 장치로 기능했습니다. Stella Dallas(1937)의 바버라 스탠윅은.. 2025. 6.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